본문 바로가기
본문 영역

연명치료 거부신청에 관한 절차 방법 알아보기

이 글 목차 자세히 보기

    연명치료 거부신청에 관한 절차 방법 알아보기

    연명치료 거부신청은 의료 결정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환자가 임종상태에 놓인 경우 연명치료나 의료시술을 거부하고, 자연스럽게 죽음을 맞이하려는 결정을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명치료 거부신청은 환자의 의사와 희망을 존중하고, 인간다운 마지막 순간을 보내도록 돕는 중요한 프로세스입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연명치료 거부신청에 대한 중요성과 절차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연명치료 거부신청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소식이 궁금하다면?◀

     

     

    보도자료 자세히 살펴보기

    (191008) 전국 보건소에서 ‘사전연명의료 거부신청’ 가능해진다.hwp
    0.23MB

    연명치료 거부신청이란?

    연명치료 거부신청은 환자가 더 이상 치료를 원치 않을 때, 의사와 함께 해당 결정을 문서로 남기는 절차입니다. 이 결정은 환자의 병원에서의 의료 치료를 거부하고, 통증 관리 및 편안함을 중점으로 하는 케어를 선택한 것입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2019.3.28 시행).hwp
    0.05MB

     

    왜 연명치료 거부신청이 중요한가?

    • 의사와 환자 의사소통 강화: 연명치료 거부신청은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을 강화합니다. 환자는 자신의 희망을 명확히 표현하고, 의사는 환자의 의지를 이해하고 존중합니다.
    • 환자 의사결정 권리 보장: 연명치료 거부신청은 환자의 의사결정 권리를 보장합니다. 환자는 자신의 의료 관리에 대한 주도성을 가지며,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을 존중받을 수 있습니다.
    • 존엄한 죽음 실현: 연명치료 거부신청은 존엄한 죽음을 실현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환자는 고통스런 연명치료로 인한 고통을 피하고,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바로가기
    https://www.lst.go.kr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공식 블로그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konibp

    국가생명윤리정책원 구독하기 
     http://bitly.kr/nO7wWj

     

    연명치료 거부신청의 절차

    절차도식

    • 의사와 상담: 환자는 먼저 자신의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진행해야 합니다. 의사는 환자에게 연명치료의 장점과 단점, 대안 옵션, 그리고 가능한 결과를 설명합니다.
    • 거부신청서 작성: 환자는 거부신청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 문서에는 환자의 의사결정을 명확하게 기록해야 합니다.
    • 증인 및 명증: 환자와 의사가 함께 신청서에 서명하는 것이 중요하며, 때로는 증인의 서명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청서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의료 기록에 반영: 거부신청서는 환자의 의료 기록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의사결정을 알고 이를 존중할 수 있습니다.

     

     

    연명치료 거부신청에 관한 해외 사례

    연명치료 거부 혹은 병원에서의 의료치료 중지에 대한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며, 다양한 법적, 윤리적, 종교적 요소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에는 해외에서의 몇 가지 주요 사례와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미국의 "앨지에버 케이스" (Cruzan v. Director, Missouri Department of Health, 1990)

    이 사건은 미국 미주리 주에서 발생한 연명치료 거부 사례로, 미국 연방 대법원까지 가게 된 중요한 사례 중 하나입니다. 미주리 주에서 교통사고로 중증 상태에 빠진 남성의 가족이 그의 연명치료를 중단하기 원했지만, 병원과 주 정부는 반대했습니다. 대법원은 환자의 연명치료 거부 의사를 인정하며, 주 정부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네덜란드의 안데스 보커 케이스 (Andes v. Versmold, 2002)

    네덜란드에서의 이 사례에서는 환자가 연명치료를 거부했지만, 의사는 이를 거부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소송에서 네덜란드 법원은 환자의 연명치료 거부를 존중하고 의사의 결정을 무효화했습니다. 이 사례는 네덜란드의 안데스 보커 법률에 대한 선행 사례 중 하나입니다.

    영국의 "트랜스플랜트 환자 사례" (R v. Cambridge Health Authority, 1995)

    이 사례에서는 환자가 장기 이식 수술 후 연명치료 거부를 표명했을 때, 의료진과 법원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영국 법원은 환자의 연명치료 거부 의사를 존중하며, 수술을 거부할 수 있음을 판결했습니다.

     

    캐나다의 로빈 더플레이스 케이스 (Cuthbertson v. Rasouli, 2013)

    이 캐나다의 사례에서 환자가 뇌졸중으로 인한 중태 상태에서 연명치료를 중단하길 원하였으나, 의료진은 반대했습니다. 캐나다 연방 대법원은 환자의 연명치료 거부 의사를 존중하며, 의료진의 결정을 무효화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연명치료 거부 및 의료 결정과 관련된 법적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외 사례의 몇 가지 예시입니다. 각 국가와 지역은 연명치료 거부와 관련된 법률과 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의 의지를 존중하고 유연한 접근을 취하려는 노력이 있습니다. 또한, 종교, 문화, 법률 등의 요소에 따라 각 국가에서 연명치료 거부 사례에 대한 처리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마무리

    연명치료 거부신청은 환자의 의지를 존중하고 존엄한 죽음을 실현하기 위해 중요한 절차입니다. 이 결정은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가족과 의사와의 열린 대화와 협의가 필수적입니다. 연명치료 거부신청은 환자의 가치관과 의지를 중요시하며, 마지막 순간을 편안하고 평화롭게 보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댓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