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함수 제 1탄 함수개요

내용 확인하기
  1. 1. 엑셀 함수란
    1. 2. 함수의 기본 문법

1. 엑셀 함수란

엑셀 함수란 반복적이고 복잡한 일련의 계산과정을 엑셀에서 미리 정해진 수식(예약어)에 의해 연산되도록 작성한 하나의 엑셀에서 약속입니다.

일반 연산에서 "1+2"는 "+"라는 기호는 1과 2의 합계를 구하라는 엑셀의 일종의 약속입니다. 실제 실무에서 사용하는 계산이 다양한 만큼 엑셀에서 함수 또한 매우 다양합니다. 단순한 합계를 계산하는 함수에서 어려운 각종 공식 등 함수의 종류는 약 300여 종류가 있습니다.

이러한 엑셀 함수는 각종 계산과 분석을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엑셀의 매크로 프로그래밍에도 기본적인 명령어(예약어)로도 사용된답니다.

 

2. 함수의 기본 문법

 

 

 

등호

 함수 사용 시 수식과 마찬가지로 입력하는 데이터가 문자열이 아닌 함수 명령임을 알려주는 기호로 등호 입력 후 함수가 아닌 일반 문자열을 입력하면 에러가 나오며, 특히 수식 중간에 사용되는 함수일 경우는 등호를 붙이지 않습니다.

 

함수 이름

 계산하고자 하는 함수 이름으로 한글 엑셀의 경우 약 300여 종류가 있습니다.(엑셀 HELP 참조)

 

괄호

 괄호는 함수 계산에 필요한 인수의 시작과 끝을 나타냅니다. 함수에 따라서 인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함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반드시 괄호를 사용합니다. (예: =RAND( ) )

주) 각 괄호 앞뒤에 공백이 있으면 함수도 실행되지 않습니다.

 

인수

 인수는 함수가 미리 정해진 연산 순서에 따라 계산될 때 사용하는 데이터로 참조 영역, 숫자, 문자열, 논리 값, 함수 등을 말하며, 특히 인수로 함수를 사용하면 여러 개의 함수를 조합하여 원하는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예 =if(AND(국어>80, 산수>80), "합격", "불합격") )

 

 어떤 함수에는 입력 위치에 따라 인수의 유형이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때에는 함수 마법사와 HELP 등을 참고하여 기본값으로 정해진 인수의 유형을 입력하면 된답니다.(예: num=수, ref=참조 영역, logical=논리 값)

 

콤마

 함수의 각 인수들은 콤마에 의해 구분됩니다. (주: 숫자 입력 시 세 자리마다 콤마를 입력하는 등 필요 없는 콤마를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Colon

 콜론은 연속된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A3:F3이면 A3~F3이 되어 3+4+5+6+7+8이 됩니다.

 

Comma

 콤마는 지정된 셀만 나타내는 것으로 3+5+6+7이 됩니다.

또한 여러 영역을 동시에 지정할 때도 사용 가능한데 예를 들어 =SUM(A3:B3, E3:F3)이면 3+4+7+8이 됩니다.

 

Space

 공백은 두 영역의 표점(공통부분)의 셀을 나타내는 것으로

A3:F3 C2:D4이면 두 영역의 공통영역인 C3, D6의 데이터인 5+6이 됩니다.

다른 사람들이 본 콘텐츠

이 내용을 확인한 사람들이 본 다른 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