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영역

어스 널스쿨 earth nullschool 사용법 태풍 미세먼지 검색

이 글 목차 자세히 보기

    어스 널스쿨 earth nullschool 사용법 태풍 미세먼지 검색

     

    태풍이나 미세먼지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어스 널스쿨(earth nullschool) 사이트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어스널스쿨

    어스 널스쿨 사이트 -> earth.nullschool.net

     

    사용하시는 PC나 스마트폰의 검색창에서 어스널스쿨이라고 타이핑하시고 접속하시면 됩니다. 어스널스쿨은 아직 개발된 앱은 없어서 직접 사이트에 접속하셔야 합니다.

    화면 좌측 아래에 보이는 earth란 글자를 클립합니다. 톱니바퀴 모양의 언어 설정에서 한국어를 선택하시면 왼쪽 그림과 같이 알아보기 쉽습니다.

    이 어스널스쿨에서 공기, 해양, 화학물질, 미세먼지 등의 흐름 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보통 각 모드마다 이름있는 기관에서 자료를 바탕으로 제공하고 있어 보입니다.

     

    이 어스널스쿨을 사용하려면 약간의 용어를 알아놓으시는 게 편리합니다. 그래서 제가 몇 개의 용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GFS (Global Forecast System) : 글로벌 예측 시스템

    NCEP(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atl Prediction) : 미국 국립환경 예측 센터

    US National Weather Service : 미국 기상청

    CAMS(Calibrated Airborne Multispectral Scanner): 캠스

    GEOS-5: 고다드 지구 관측 시스템, 버전 5

    GMAO: 글로벌 모델링 및 동화 사무소

    UTC : 협정 세계시

    Local : 접속하는 지역의 시간(우리나라 시간)

    크기 : 색깔로 보여지며 오른쪽으로 갈수록 심각하다고 보면 됩니다.

    지도 투영법 : A(아틀란티스 투영법), CE(정거원 투도법), E(등장방형도법), O(정사도법), P(패터슨 도법), S(평사도법), WB(워터맨도법), W3(윈켈 제3도법)

     

    제어 항목에서 삼각형 모양의 버튼의 색깔이 주황색이면 애니메이션이 작동되어 진행과정을 보기 편하게 되어 있습니다. 마우스 왼쪽을 누르면서 지구본 모양을 돌려가며 우리나라 지역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공기 모드

    공기 모드에서는 쉽게 생각하면, 태풍의 예측 경로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현재 바람(태풍)의 흐름을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내어 보입니다. 제어에서 화살표들을 눌러 날짜를 선택하여 예상 경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메뉴 하나씩 마우스를 갖다 대면 설명글이 나오니 궁금하시면 눌러가면서 확인합니다.

     

     

    오버레이에서는 바람, 온도, 상대습도, WPD(풍력에너지밀도), 3HPA(3시간 강수량), CAPE(대륙가용잠재에너지), PTW(가강수량), TCW(총 구름 수분함량), MSLP(평균 해수면 압력), MI(불쾌지수)를 알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모드

     

    미세먼지 모드에서는 말 그대로 원하는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와 흐름을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오버레이에 있는 DUex(분진 소광 계수), PM1(초미세먼지 <1um), PM2.5(초미세먼지 <2.5um), PM10(초미세먼지 <10um), SO4ex

     

     

    원하는 지역을 검색하려면 마우스로 눌러주면 녹색원이 되어 확대 축소가 가능합니다.

     

    아래 표는 미세먼지 예보등급 및 행동요령에 관련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참고하셔서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미세먼지예보등급

    전문적인 사람이 아닌 우리같이 일반인들이 각각의 오버레이를 검색한다는 것은 조금 낯설어 보입니다. 그러나 크기 항목에 나오는 색깔을 구분하는 것은 보다 쉬워 보입니다.

     

    지금까지 어스널스쿨의 사용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조금씩 몇 번 사용하다 보시면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 댓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