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영역

BMI 계산하기 비만도 계산기

이 글 목차 자세히 보기

    BMI 계산하기 비만도 계산기

     젊었을 때는 날씬하고 홀쭉했는데, 어느 순간부터 살이 쪄서 체중이 늘어난 걸 알고는 속이 엄청 상합니다. 이러다 비만이라도 되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도 생길지도 모를 일입니다.

    초·중·고등학생의 경우 4명 중 1명이 신체활동 부족, 고칼로리·고지방 음식 섭취 증가 등 식습관으로 과체중이나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비만율이 전체 성인 인구의 32%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세히 알아보면 질병관리본부 2017년 국민건강통계 자료를 참고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은 2010년 30.9%에서 2017년 34.1%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BMI 계산

    하지만 사실, 그들은 종종 그들의 비만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만 19세 이상 1991년 가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비만·고비만 집단의 약 18%가 자신을 정상 체형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저와 함께 BMI 계산하기로 비만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배워 보도록 할까요?

    BMI 계산하기

    비만을 측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BMI 지수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정확한 명칭은 키와 몸무게의 비율을 이용한 객관적 체중 지수인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를 말합니다.

    키와 몸무게를 알면 BMI 계산하기 쉬운데, 그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BMI=체중(kg)/키(m) x 키(m)

    즉, 비만도 계산하기에 보통 사용하는 체질량지수(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계산법은 단순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그 결과로 비만 정도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성인 BMI 계산기

    BMI 지수가 18.5 이하일 경우 BMI 지수는 저체중  / 18.5~22.9은 정상체중 / 23~24.9는 과체중 / 25~29.9은 비만 / 30~35는 고도비만 / 35 이상은 초고 비만으로 분류됩니다.

    정확한 BMI 측정을 위한 준비 단계

     

    - 키와 체중의 측정 단위는 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 측정합니다.

    - 측정하기 전 8시간 동안 단식한 후 소변을 본 후에 측정합니다.

    - 항상 같은 조건에서 정해진 시간에 측정합니다.

    - 체중 측정 시 최소한의 의복을 착용하고,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 측정합니다.

    - 키 측정 시 발을 60도 간격으로 두고 발뒤꿈치, 엉덩이, 어깨뼈, 머리 등을 벽에 부착한 상태로 직선으로 호흡을 깊게 한 상태에서 측정합니다.

     

    체질량지수(BMI)의 변수 BMI(비만 계산기)의 약점은 근육과 지방의 비율을 고려하지 않고 키와 몸무게의 관계만으로 체지방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근육은 같은 양의 지방보다 1.15배 무거우므로 근육이 많고 지방이 적으면 키와 몸무게에 따라 다른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BMI가 보편적인 기준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근육이 많고 몸무게가 많으면 비만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보통 허리 사이즈나 운동 상태를 생각해보면 근육질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수를 믿고 관리하는 게 맞겠죠?

     

    BMI 지수와 건강의 관련

     BMI 계산기로 측정한 BMI가 높을수록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습니다. 과체중이 되면 각종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높습니다.

     

    비만과 관련성이 높은 질환으로는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대사증후군, 골관절염, 유방암, 자궁암, 쿠싱증후군, 우울증 등이 있습니다. 또 비만도가 2~3단계로 올라가면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각종 암 및 관절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BMI 지수가 상승함에 따라 고혈압, 고관절염, 심혈관질환 등 특정 질환의 위험도 높아지게 됩니다.

    극단적 비만의 경우 중증 질환으로 분류돼 비만 수술을 받을 때 건강보험으로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BMI 계산법은 체지방률과 근육량의 차이를 계산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체지방보다 고밀도의 근육량이 많은 사람들이 BMI 계산으로 나온 값을 따지면 과체중이나 비만에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만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보조 형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지방 등 정확한 비만도를 알기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 또는 전문 의료진의 관련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댓글

    TOP